바리새인에 이어 이번에는 부활을 믿지 않는 사두개인들이 찾아와 신학적 문제로 예수님을 궁지에 몰아넣으려 하지만, 도리어 그들의 무지와 불신만 드러납니다.
[ 마태복음 22:23 - 22:33 ] (찬송170장)
23부활이 없다 하는 사두개인들이 그 날 예수께 와서 물어 이르되 24선생님이여 모세가 일렀으되 사람이 만일 자식이 없이 죽으면 그 동생이 그 아내에게 장가 들어 형을 위하여 상속자를 세울지니라 하였나이다 25우리 중에 칠 형제가 있었는데 맏이가 장가 들었다가 죽어 상속자가 없으므로 그 아내를 그 동생에게 물려 주고 26그 둘째와 셋째로 일곱째까지 그렇게 하다가 27최후에 그 여자도 죽었나이다 28그런즉 그들이 다 그를 취하였으니 부활 때에 일곱 중의 누구의 아내가 되리이까
29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너희가 성경도, 하나님의 능력도 알지 못하는 고로 오해하였도다 30부활 때에는 장가도 아니 가고 시집도 아니 가고 하늘에 있는 천사들과 같으니라 31죽은 자의 부활을 논할진대 하나님이 너희에게 말씀하신 바 32나는 아브라함의 하나님이요 이삭의 하나님이요 야곱의 하나님이로라 하신 것을 읽어 보지 못하였느냐 하나님은 죽은 자의 하나님이 아니요 살아 있는 자의 하나님이시니라 하시니 33무리가 듣고 그의 가르치심에 놀라더라
도움말
23절) 사두개인은 예루살렘의 제사장 귀족과 평신도 귀족들로 구성된 종교적 결사체로 유대의 정치권력을 독점하였고 로마와 결탁한 타협주의자들이자, 부활을 믿지 않는 현실주의자들이었다. 또한 모세오경만 유일한 권위로 인정하는 보수주의자들이었다.
하나님은 어떤 분입니까?
30절 예수님은 부활 이후의 삶이 이 땅의 삶과 같을 것이라는 사두개인들의 전제부터 지적하십니다. 부활의 때에는 천사들처럼 다시 죽지 않고 결혼하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더 이상의 가족 관계는 없고 모두 하나님의 자녀로만 살 것이며, 결혼이 필요 없을 만큼 서로 깊고 친밀한 관계를 누릴 것입니다.
31,32절 ‘산 자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은 자신을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출 3:6)으로 소개하셨습니다. 그들이 살아 있지 않다면 의미 없는 호칭일 뿐입니다. ‘산 자의 하나님’이라는 말씀 속에 죽음을 이기는 부활이 천명되고 있습니다. 사두개인들이 모세오경이 계시하는 창조주를 믿었다면 그분이 전혀 다른 새 세상도 창조하실 수 있다는 것도 받아들일 수 있을 것입니다.
내게주시는교훈은무엇입니까?
23-28절 모세오경만 정경으로 인정하던 사두개인들은 오경에 부활의 근거가 없다는 이유로 내세나 부활을 믿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취하여 대를 잇는 수혼법(신 25:5,6)을 근거로 부활의 맹점을 공격하여 부활이 없음을 증명하려 했습니다. 현세주의자로 남부럽지 않은 호사와 기득권을 누리던 그들에게 내세와 부활에 관한 교훈은 불편했을 것입니다. 세상 질서에 길들여진 그들에게 부활은 있어서는 안 되는 새 질서였습니다.
29절 사두개인들은 진리를 좇는 신앙인이 아니라 실리와 신념이 만든 종교인입니다. 무지를 인정하기에는 오만했고 부활을 인정하기에는 현세적이었습니다. 나만의 이해(理解)와 이해(利害)에 갇혀 있는 한 온전한 진리의 세계로, 영광스런 부활의 세계로 나아갈 수 없습니다.
33절 무리의 반응도 바리새인들의 반응(22절)과 다르지 않습니다. 말씀에 감탄할 뿐 믿고 따르는 사람이 없습니다. 지금도 말씀에 감탄하고 평가하는 사람은 많지만 그 말씀에 인생을 걸고 하나님 나라를 위해 헌신하는 사람들은 많지 않습니다.
기도
공동체-하나님의 능력을 의심하고 제한하기 전에 더 듣고 배우는 겸비한 마음을 갖게 하소서. 열방-나이지리아 정부가 그리스도인을 박해하는 풀라니족 무장 세력에 대한 실제적인 대책을 세우고, 그들에게 납치된 학생들이 속히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도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