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기구독신청 | 인쇄하기 |

GOD’S SUFFICIENT GRACE 하나님의 충분한 은혜
[ 2 Corinthians 12:2 - 12:10 ] - hymn 337

I was given a thorn in my flesh.
[ 2 CORINTHIANS 12:7 ]


Born Mary Flannery O’Connor, she’s best known as Flannery O’Connor, one of the American South’s most celebrated writers. Her stories brim with suffering and grace. When her beloved father died of lupus when she was fifteen, a devas- tated O’Connor threw herself into writing her first novel. Soon she herself was diagnosed with lupus, an incurable disease that took her life at thirty-nine. O’Connor’s writing reflects her physical and mental anguish. Novelist Alice McDermott said, “It was the illness I think that made her the writer that she is.”

We don’t know what the apostle Paul’s “thorn” was (2 CORINTHIANS 12:7), though many have offered conjecture. We do know that Paul said, “Three times I pleaded with the Lord to take it away from me” (V. 8). We also know God didn’t do so (V. 9). This humbled Paul. He notes how it kept him “from becoming conceited” (V. 7). Paul’s thorn formed him and made him the apostle that he was. But the thorn wasn’t all, for with the thorn came God’s sufficient grace and perfecting power, so the tormented apostle could declare, “When I am weak, then I am strong” (V. 10).

The thorns in our lives, whatever they may be, form us. They make us who we are. But the thorns aren’t all there is. As Paul and Flannery O’Connor and countless others have witnessed over the long arc of human history, God’s grace is sufficient for us.
JOHN BLASE
[ 고린도후서 12:2 - 12:10 ] - 찬송가 337 장

내 육체에 가시를 주셨으니
[고린도후서 12:7]


플래너리 오코너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져 있는 메리 플래너리 오코너는 미국 남부 문학을 대표하는 작가 중의 한 사람입니다. 그의 작품에는 삶의 고통과 은혜라는 상반된 주제가 깊이 스며 있습니다. 오코너는 열다섯 살 때 사랑하는 아버지를 루푸스(자가면역질환) 병으로 잃고 깊은 슬픔에 빠져 첫 소설 집필을 시작했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오코너 자신도 같은 루푸스 병을 진단받고, 이 불치병으로 39세의 나이에 생을 마감하였습니다. 오코너의 작품들은 자신의 육체적, 정신적 고통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소설가 앨리스 맥더모트는 “질병이 오코너를 지금의 작가로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는 바울 사도에게 있었던 “가시”가 무엇인지 많은 사람들의 추측은 있지만 정확히 알지 못합니다(고린도후서 12:7). 그러나 바울이 “이것이 내게서 떠나가게 하기 위하여 내가 세 번 주께 간구하였다”(8절)는 것과 하나님께서 그렇게 해주지 않으셨다는 사실을 우리는 압니다(9절). 이 가시는 바울을 겸손 하게 만들었습니다. 바울은 자신이 어떻게 그 가시로 말미암아 “너무 자만하지 않게” 되었는지 기록하고 있습니다(7절). 바울의 가시는 그를 빚어 진정한 사도로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가시가 전부가 아니었습니다. 그 가시와 함께 하나님의 충분한 은혜와 완전한 능력이 임했기 때문에 고통받던 사도는 “내가 약한 그 때에 강함이라”(10절)고 선언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 삶에 있는 가시들은 그것들이 무엇이든 우리를 빚어 현재의 우리 모습을 만들어 갑니다. 그러나 가시가 보이는 전부는 아닙니다. 인류 역사의 긴 흐름 속에서 바울과 플래너리 오코너, 그리고 수많은 다른 사람들이 증언했듯이, 하나님의 충분한 은혜가 우리에게 넘치고 있습니다.

What are the “thorns” in your life?
How can you permit God’s grace and strength to be enough for you today?


Dear God, Your grace is sufficient for me.


2 I know a man in Christ who fourteen years ago was caught up to the third heaven. Whether it was in the body or out of the body I do not know—God knows.

3 And I know that this man—whether in the body or apart from the body I do not know, but God knows—

4 was caught up to paradise and heard inexpressible things, things that no one is permitted to tell.

5 I will boast about a man like that, but I will not boast about myself, except about my weaknesses.

6 Even if I should choose to boast, I would not be a fool, because I would be speaking the truth. But I refrain, so no one will think more of me than is warranted by what I do or say,

7 or because of these surpassingly great revelations. Therefore, in order to keep me from becoming conceited, I was given a thorn in my flesh, a messenger of Satan, to torment me.

8 Three times I pleaded with the Lord to take it away from me.

9 But he said to me, “My grace is sufficient for you, for my power is made perfect in weakness.” Therefore I will boast all the more gladly about my weaknesses, so that Christ's power may rest on me.

10 That is why, for Christ's sake, I delight in weaknesses, in insults, in hardships, in persecutions, in difficulties. For when I am weak, then I am strong.

당신 삶에 있는 “가시”는 무엇입니까?
오늘 어떻게 하나님의 은혜와 능력이 당신에게 충만하도록 할 수 있을까요?


사랑하는 하나님, 저에게 하나님의 은혜가 충분히 넘치고 있습니다.


2 내가 그리스도 안에 있는 한 사람을 아노니 그는 십사 년 전에 셋째 하늘에 이끌려 간 자라 (그가 몸 안에 있었는지 몸 밖에 있었는지 나는 모르거니와 하나님은 아시느니라)

3 내가 이런 사람을 아노니 (그가 몸 안에 있었는지 몸 밖에 있었는지 나는 모르거니와 하나님은 아시느니라)

4 그가 낙원으로 이끌려 가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말을 들었으니 사람이 가히 이르지 못할 말이로다

5 내가 이런 사람을 위하여 자랑하겠으나 나를 위하여는 약한 것들 외에 자랑하지 아니하리라

6 내가 만일 자랑하고자 하여도 어리석은 자가 되지 아니할 것은 내가 참말을 함이라 그러나 누가 나를 보는 바와 내게 듣는 바에 지나치게 생각할까 두려워하여 그만두노라

7 여러 계시를 받은 것이 지극히 크므로 너무 자만하지 않게 하시려고 내 육체에 가시 곧 사탄의 사자를 주셨으니 이는 나를 쳐서 너무 자만하지 않게 하려 하심이라

8 이것이 내게서 떠나가게 하기 위하여 내가 세 번 주께 간구하였더니

9 나에게 이르시기를 내 은혜가 네게 족하도다 이는 내 능력이 약한 데서 온전하여짐이라 하신지라 그러므로 도리어 크게 기뻐함으로 나의 여러 약한 것들에 대하여 자랑하리니 이는 그리스도의 능력이 내게 머물게 하려 함이라

10 그러므로 내가 그리스도를 위하여 약한 것들과 능욕과 궁핍과 박해와 곤고를 기뻐하노니 이는 내가 약한 그 때에 강함이라
SWIM 후원하기
예금주 : 세계인터넷선교협의회
우리은행 : 1006-980-321700
하나은행 : 573-910004-21105
국민은행 : 387201-01-088376
정기후원 일시후원
본 메일은 SWIM 메일 수신에 동의하신 분에게만 발송되는 발신전용 메일입니다. 메일 수신을 원치 않으시면 www.swim.org에 접속, QTLife>QT신청하기>메일그만받기(바로가기)에서 직접 처리하시거나, swim@swim.org로수신 거부 메일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Mailing service : SWIM | Tel : 02-796-3217 | Email : swim@swim.org | Update : 이영미, 조용윤
제공 : RBC Ministries, 오늘의 양식사 | Tel : 031-780-9565~8 | Email : odb@hcc.or.kr
"To read other issues of Our Daily Bread, visit us at www.rbc.net"
All Rights Reserved 한국 오늘의 양식사